반응형 전체 글516 양도소득세 세율,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정리 (아파트, 분양권, 토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양도소득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도소득세가 무엇이고, 양도소득세 세율이 어떻게 되며 - 아파트 매매시, - 분양권 매매시, - 토지 매매시에 양도 소득세가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예시를 들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양도소득세란 무엇인가? 양도 소득세는 '재산 양도시 그 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그래서 아파트를 팔때 차익이 발생하면 이 차익에 대하여 신고하고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2. 양도소득세 세율은 어떻게 될까? 양도 소득세 셰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와 같이 주택, 분양권, 토지에 대한 세율에 대하여 빨강 박스로 표시하였습니다. 이 세율로 어떻게 계산이 되는지는 밑에서 예를 들어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overvi.. 2021. 10. 16. 재산세 세율, 계산 방법 정리 (1세대 1주택 세율 특례) 안녕하세요. 오늘은 공시가격 9억이하의 주택에 대하여 1세대 1주택 재산세 세율특례를 적용하여 재산세를 계산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윹특례가 적용되지 않았을 경우와 비교하여 얼마나 감면이 되는지도 예를 들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재산세? 1세대 1주택 재산세 세율특례? 우선 기본적인 내용을 다시 정리하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재산세란 무엇일까요? 재산세는 '소유한 재산에 따라 부과되는 지방세' 입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제가 아파트를 소유하게 되면 그 소유한 재산에 대해 세금을 내야하는 것입니다. 뭐 똑같은 말이죠?ㅎㅎ 재산세는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계산이 됩니다. 공시가격이란 무엇이냐면 '정부가 조사·산정해 공시하는 가격으로, 토지 지가산정 등 부동산 가격의 지표가 되는 가격'.. 2021. 10. 15. 재산세 계산 방법 정리 (보유세 계산 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파트 재산세/보유세를 계산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재산세(보유세)란 무엇인가? 우리는 아파트를 사고, 보유를 하고 또 언젠가는 아파트를 팔수도 있습니다. 1) 아파트를 살때 -> 취득세 (부동산 취득시 납부해야 하는 세금) 2)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을때 -> 보유세 (소유한 재산에 따라 부과되는 지방세) 3) 아파트를 매매할때 -> 양도소득세 (재산 양도시 그 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크게 이렇게 3가지 세금을 내야합니다. 참고로 종합부동산세는 여기서 제외를 하였습니다. 이중,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을때, 우리는 아파트를 취득하고, 6월 1일을 기준으로 보유한 재산에 따라 세금을 내야합니다. 예를들어 제가 2021년 4월에 아파트를 샀으면 2021년 6월 1일기준.. 2021. 10. 14. 종합소득세 세율, 과세표준, 계산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종합소득세를 계산하는 방법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먼저, 종합소득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종합소득세 계산을 수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는 '모든 소득을 종합하여 과세하는 조세'입니다. 저는 직장인입니다. 따라서, 회사는 미리 소득세를 제외한 금액(세후 금액)을 저에게 달마다 월급으로 주고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매달 소득세를 내는 것이지요. 따라서, 근로소득만 있는자로서 연말정산을 한 사람들은 따로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예를들어 주변 직장인들 중에서 부동산 임대업을 겸하여 추가적인 수입이 있으신 분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분들은 1) 부동산 임대업에 따른 소득을 분리하여 과세할수도 있고 2) 근로소득 + 부동산 임대업 소득을 합산하.. 2021. 10. 13. 이전 1 ··· 83 84 85 86 87 88 89 ··· 12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