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16

나대지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계산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나대시 재산세, 종부세 계산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파트와 같은 재산세는 쉽게 계산을 해볼수 있습니다. 부동산계산기를 이용해도 되고요. 그런데, 나대지 토지에 대한 재산세, 종부세 계산은 쉽게 찾아보기가 힘듬니다. 오늘은 나대지 토지를 예를 들어서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나대지란 무엇을 의미한느 것일까요? 1. 나대지란 무엇일까? 나대지란, 지상에 건축물 등이 없는 대지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땅만을 사고 그 위에 건축물을 세우지 않으면 그 땅은 나대지가 되는 것입니다. 나대지가 되면, 재산세 및 종합부동산세의 계산 방식이 달라지게 됩니다. 세금 계산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토지의 대한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과세표준을 정할때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1. 10. 12.
종합부동산세 계산 방법 정리 (아파트 + 토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종합부동산세 계산 방법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종합부동산세는 예전에 정리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오늘은 주택뿐만 아니라 토지를 소유하고 계신경우 어떻게 종합부동산세가 계산이 되는지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우선 종합부동산세란 무엇일까요? 국세청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를 하고 있습니다. 종합부동산세란 과세기준일(매년 6월 1일) 현재 국내에 소재한 재산세 과세대상인 주택 및 토지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인별로 합산한 결과, 그 공시가격 합계액이 각 유형별로 공제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하여 과세되는 세금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공시가격 14억이 되는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고 가정해 볼게요. 한개를 소유하고 있다면 1세대 1주택 11억 공제를 받게 되어서 과세기준 = 14.. 2021. 10. 11.
부동산 인지세 납부방법, 계산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동산에서 인지세 무엇인지 정리하고, 납부방법 및 계산방법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1. 인지세란 무엇인가? 인지세를 위키에서 검색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증서를 작성하는 경우 납부해야 하는 세금, 즉 나라 및 공공기관의 도장값이다. 법적으로 유효한 거래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해주는 증표이다.' 예를 들어서, 제가 8억원의 아파트를 하나 매수하였습니다. 그렇다면 8억원 아파트가 이제 제꺼니까! 내 소유라는 것을 등기부등본에 기록해야합니다. 그래서, 인지세를 내야 합니다. 즉, 나라에서 법적으로 유효한 거래가 이루어졌고, 이를 인정하는 대가로 도장값을 받는 것입니다. 아래는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확인할수 있는 인지세법을 캡처한 것입니다. https://www.law.go.k.. 2021. 10. 11.
주민등록등본 인터넷발급, 핸드폰에서 등본 열람 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민등록등본을 인터넷을 통해 발급하는 방법과 핸드폰으로 주민등록등본을 열람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핸드폰으로 주민등록등본을 열람하는 방법을 추가로 넣은 이유는 영유아 증명과같이 아이의 나이를 증명하는 경우에 핸드폰으로 바로 주민등록등본을 열람하면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얼마전 어린아이와 함께 수족관에 갔는데 36개월 아이는 무료이기 때문에 증명 서류가 필요했습니다. 아내가 증명서류를 사진으로 찍어서 보내주었는데 만일 아내가 집에 없었으면 낭패가 될뻔 했습니다. 그래서 핸드폰으로도 주민등록등본을 열람할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내용도 추가하려고 합니다. 1. 주민등록등본 인터세발급 방법 정리 1) 정부24를 입력하고 아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참고로 정부2.. 2021. 10.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