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16

아파트 매매 1주택, 2주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파트 매매 관련하여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정지역 1주택, 2주택의 경우 어떻게 양도소득 세율이 적용되는지도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양도소득세란 무엇인가? 양도소득세는 재산을 양도(물건을 남에게 넘겨줌. 또는 재산, 권리 및 법률상의 지위 등을 타인에게 이전함)시 그 차익에 대해서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따라서, 매매거래 이후 차익에 대한 세금을 신고, 납부해야합니다. 국세청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2. 양도소득세 납부 기한 양도세 납부 기한은 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로부터 2개월 이내 납부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예를 들어 7/15일날 잔금을 지급받았다면, 9/30일까지 신고/납부를 해야합니다. 3.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1) .. 2021. 9. 25.
부동산 등기비용(취득세, 법무비용) 계산 방법 정리 및 셀프등기 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동산 등기비용 및 셀프등기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아파트를 샀다고 가정을 해볼게요. 그러면 2가지 일을 해야합니다. 1) 부동산(아파트)를 취득하였다고 나라에게 취득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합니다. (취득세) 2) 아파트의 소유권이 변경되었으므로, 소유권을 이전 등기를 해야합니다. 보통 1), 2)을 부동산 중개업자가 소개해주는 법무사를 통해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법무사를 통해 진행하면 취득세도 납부해주고, 등기소에서 등기처리까지 처리해줍니다. 물론 취득비용을 법무사에게 전달해 주어야 하며, 추가적으로 법무사에게 대행수수료를 납부해야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법무사 통해 내야하는 등기비용과 셀프로 등기를 신청할경우 내야 하는 등기비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 2021. 9. 25.
부동산 중개보수(중개수수료) 계산 방법 정리 (8.20 개정안) 안녕하세요. 오늘은 중개보수/중개수수료 계산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아파트를 사려고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부동산중개업자를 찾아가서, 아파트를 팔겠다고 이야기 해야합니다. 그러면 부동산중개업자는 매물(ex. 아파트)를 등록시키고 매물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소개를 시켜 줍니다. 그리고 매물을 사는 사람이 나타나면 부동산중개업자가 중개하여 계약서를 작성합니다. 그리고 아파트를 파려는사람과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은 모두 중개업자에게 중개보수/중개수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보통 부동산중개업자는 부동산 중개보수 요율에 따라 금액을 산정합니다. 그리고, 그 가격에서 조금 깍아주어서 요금을 내게 됩니다. 요금이 크게 깍이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정확한 중개보수 계산을 통해서, 요금을 예.. 2021. 9. 24.
주택 취득세 의미, 신고/납부 기간, 계산 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취득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주택 취득세를 다양한 예시를 들어서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취득세란 무엇인가? 위키에서 취득세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옵니다. https://namu.wiki/w/%EC%B7%A8%EB%93%9D%EC%84%B8 취득세(取得稅)는 재산에 대한 취득 행위 및 등기를 담세력으로 판단하여 부과하는 세금. 지방세이다. 2011년 지방세법 개정으로 기존의 취득세와 등록세[1]가 합쳐졌다. 광역자치단체 세금에 해당한다. 다시말해서, 아파트나 오피스텔을 취득하였을 경우, 납부해야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제가 만일 8억의 아파트를 주고 샀다면 취득 당시 가액은 8억이 됩니다. 그렇다면 이 취득 당시 가액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합니다. 만일 시가표준액(부.. 2021. 9.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