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appy Life/Tax116 주택담보대출 이자 계산, 상환 방법 정리 (원리금균등분할, 원금균등분할)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택담보대출 이자 계산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담보대출 후, 얼마만큼의 원금과 이자를 월마다 얼마를 내야하는지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같이 월급을 받는 사람들은, 그 월금에서 원금과 이자도 내야하고, 관리비도 내야하고, 아이들 교육비도 내야하기 때문에 정확한 원리금 상환 금액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대출금을 상환하는 방법에는 크게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원리금균등분할 : 총 이자와 원금을 기간으로 나누어 매달 균등 납부하는 방식 - 원금균등분할 : 매달 같은 비율로 원금을 상환하는 방식 - 만기일시 : 원금은 만기에 전액 상환하고 그 전까진 이자만 납입하는 방식 그렇다면 지금부터, 원리금균등분할, 원금균등분할, 만기일시 방식을 나누어 이자를 계산.. 2021. 9. 28. LTV 주택담보대출 가능액 계산 정리 (지역별 LTV 확인) 안녕하세요. 요즘 집값이 많이 올라간 상태입니다. 그래서, 대출을 받지 않고 집을 사기가 많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대부분 주택을 매매할경우, 주택담보대출을 많이 받습니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을 할경우 LTV에 따라서 받을수 있는 대출금액이 달라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내가 받을수 있는 주택담보대출이 얼마인지를 파악하고 주택을 매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LTV(Loan to Value : 담보인정비율)에 대해서 알아보고, LTV를 기준으로 담보대출가능금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1. LTV(Loan to Value)란 무엇인가? 나무위키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를 합니다. https://namu.wiki/w/%EB%8B%B4%EB%B3%B4%20%EC%9D%B8%EC%A0%95.. 2021. 9. 27. 증여세, 증여취득세 계산 방법 정리 (실거래가, 시가표준액) 안녕하세요. 오늘은 증여세, 증여취득세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증여세, 증여취득세란 무엇인지 설명을 드리고, 증여세, 증여취득세를 예시를 들어서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증여란 무엇인가? 위키에서 검색을 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https://namu.wiki/w/%EC%A6%9D%EC%97%AC%EC%84%B8 국세의 일종이다. 증여세와 상속세는 부의 무상 이전, 즉 무언가를 대가 없이 받는 것에 대한 세금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주는 것에 대한 세금이 아니다. 일부 예외(연대납부규정)를 제외하고는 모두 수증자와 상속자가 상증세의 담세자다. 증여라는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자의 일방이 무상으로 재산을 준다는 의사표시를 하고, 상대방이 승낙함으로써 성립하는.. 2021. 9. 26. 아파트 매매 1주택, 2주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파트 매매 관련하여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정지역 1주택, 2주택의 경우 어떻게 양도소득 세율이 적용되는지도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양도소득세란 무엇인가? 양도소득세는 재산을 양도(물건을 남에게 넘겨줌. 또는 재산, 권리 및 법률상의 지위 등을 타인에게 이전함)시 그 차익에 대해서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따라서, 매매거래 이후 차익에 대한 세금을 신고, 납부해야합니다. 국세청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2. 양도소득세 납부 기한 양도세 납부 기한은 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로부터 2개월 이내 납부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예를 들어 7/15일날 잔금을 지급받았다면, 9/30일까지 신고/납부를 해야합니다. 3.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1) .. 2021. 9. 25.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