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mbedded SW116 [Infineon] 14. Aurix (TC23x)를 이용한 DC 모터 동작 수행 1 (L298N, FIT0450) 그러면 이제 DC 모터를 동작시켜 보도록 하자! 내가 동작시킬 모터는 아래와 같다.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모터를 돌릴수 있는 전류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TC237 개발 보드에서 바로 PWM을 준다고 해서 전류를 그만큼 공급할수가 없다. 따라서 모터 드라이브가 필요하다. Motor Driver 와 DC Motor Spec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자! 우선 Motor Driver는 L298N 을 구매하였다. '스텝모터 드라이버 보드로 L298N IC가 장착된 듀얼 H-브리지 모터 드라이버 모듈로 2개의 DC 또는 스테핑 모터 제어가 가능하다' 라고 설명이 되어 있다. 회로도는 아래와 같다. 나중에 추가적으로 분석해 보도록 하자! Spec은 아래와 같다. 이제 DC 모터 스펙을 보도록 하자! .. 2021. 5. 28. [Infineon] 13. Aurix (TC23x) Clock Setting 임베디드 SW 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는 부분이 Clock Setting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주변기기의 동작은 Clock을 받아 동작하기 때문에 몇 Hz의 Clock이 주변기기로 들어오는지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TC237 개발 보드에는 20MHz의 외부 오실레이터가 달려 있다. 이 오실레이터를 기반으로 PLL(Phase Lock Loop)모듈을 통하여 더 높은 Hz로 분주를 한다. 이 PLL 모듈은 아래 System Control Unit 아래 CCU 모듈안에 있다. 위의 그림을 보면 20MHz의 외부 오실레이터를 input으로 받아서 200MHz의 주파수를 만들어 내는 것을 볼수 있다. TC237 MCU의 최대 주파수는 200MHz 까지기 때문에 최대한으로 분주하였다. 이제 어떻게 분주가 되는지.. 2021. 5. 28. [Infineon] 12. Aurix (TC23x) GTM TOM을 이용한 PWM 출력 이제 모터를 돌려 볼 것이다. 모터를 돌리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간단한 DC모터를 생각해 보자! DC 모터에 입력으로 들어가는 전압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는 달라진다. 예를들어 0~5V의 입력을 가지는 모터에 1V DC 전압을 인가했을때보다 2V를 넣을때가 더 빠르고 3V를 넣을때가 더 빠르다. 그렇다면 MCU는 어떻게 DC모터에 전압을 인가할수 있을까? 어떻게 아날로그 전압을 만들어 줄까? MCU가 아날로그 전압을 만들어 주려면 별도의 Digital Analog IC를 이용하여 만들어주어야 한다. 어떠한 추가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MCU자체내에서는 0V와 5V 전압밖에 낼수가 없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0~5V전압을 만들어 줄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5ms동안은 5V를 주고, 그후 또.. 2021. 5. 27. [Infineon] 11. Aurix (TC23x) TFT를 이용한 디버깅 환경 구축 현재 나는 TFT가 장착된 개발보드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인피니언에서 제공하는 TFT 소스파일을 포팅하여 변수 및 그래프를 TFT 디스플레이로 실시간으로 확인할수 있다. 아래 블럭다이어 그램을 살펴보면 SPI 통신을 통해서 Control 되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다. 추후, SPI도 다룰것이다. 우선, 인피니언 홈페이지에서 TC237 TFT Application SW를 다운 받고, TFT 관련된 SW를 포팅한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TFT 초기화 SW를 실행 시킨다. void TFt_Init(void) { /* Initialise the application state */ g_AppCpu0.info.pllFreq = IfxScuCcu_getPllFrequency(); g_AppCpu0.info.cpu.. 2021. 5. 25.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