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ppy Life/Economy

금리(기준금리, 시장금리)와 경제와의 관계 정리

by 방구석 임베디드 2021. 9. 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금리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준금리가 무엇인지, 시장금리가 무엇인지 정리하고

또한 금리인상, 금리인하됨에 따라, 우리의 경제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서도 정리해 볼게요.

 

1. 금리(金利)란 무엇인가? 

사전에서는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 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금융시장에서는 금리를 이자율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금리는 여러가지로 구분될수 있지만, 크게

정책금리시장금리로 구분됩니다.

2. 정책금리(기준금리)란 무엇인가?

정책금리는 '국가의 정책에 의거하여 관리받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기준금리가 있습니다.

기준금리를 위키에 검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ttps://namu.wiki/w/%EA%B8%B0%EC%A4%80%EA%B8%88%EB%A6%AC
기준금리(基準金利, Base Rate)는 요약금리체계의 기준이 되는 중심금리를 말한다. 금리에는 중앙은행의 공정이율, 시중은행의 예대금금리(預貸金金利), 콜레이트 ·국채금리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것들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금리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그 중심적 위치에 있어서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고 금융정세의 변화에 따라 표준적으로 변동하며 또한 금융시장에 있어서의 각종 금리를 지배하는 것이 기준금리인데 공정이율이 그 구실을 담당한다.

무언가 조금 어렵네요! 조금 쉽게 이야기하면,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입니다.

기준금리는 너무나도 중요한 금리입니다.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모든 금융시장의 금리 또한 상승하게 됩니다.

그리고, 제가 신용대출을 받았다면 대출이자가 오르게 되고, 예금을 했다면 예금이자도 오르게 됩니다.

또한 주식 채권, 부동산(아파트)등 자산 가격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연방기금금리)과 우리나라(기준금리)의 정책 금리 인상, 인하 정책을 잘 이해하면

많은 리스크를 줄일수 있습니다.

 

결국 금리체계 중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점하는 금리를 ‘기준금리(基準金利)’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기준금리의 요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A4%80%EA%B8%88%EB%A6%AC
그 나라의 금리 전체를 대표하는 것이어야 할 것.
② 그때 그때의 금융정세를 민감하게 반영하여 변동하는 것일 것.
③ 그 금리가 움직이면 전체의 금리체계도 그에 수반하여 움직인다는
타의 금리에 대한 지도성(指導性)을 갖고 있을 것 등이 필요하다.

3. 시장금리란 무엇인가?

시장금리는 시장에서 자금을 거리할 때 시장 참여자들의 자금 사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되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쉽게 이야기하여 은행의 금리(이자율)을 의미합니다.

시장금리는 앞서이야기한 기준금리에 근거하여 변동이 됩니다.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시장금리또한 올라가고,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시장금리또한 내려갑니다.

예를 들어서, 제가 마이너스통장 대출을 했는데요,

기준금리가 0.5%일때는 은행에서 마이너스통장 대출 금리가 2%대였다면

현재는 0.75%의 기준금리를 반영하여 3%대의 마이너스통장 금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 추이표입니다.

2020년 0.5%까지 내려간 기준금리가 반등되어 2021년에는 0.75%로 상승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전 기준금리를 보면, 기준금리는 결코 지금처럼 낮지 않았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 추이

그렇다면 나라에서는 어떠한 이유로 이렇게 기준금리를 조절하는 것일까요?

 

 

4. 기준금리와 경제와의 관계

기준금리와 경제와 관계성에 대해서는 아래 나무위키에서 많은 내용을 요약정리하였습니다.

https://namu.wiki/w/%EA%B8%B0%EC%A4%80%EA%B8%88%EB%A6%AC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경제충격을 받고 있던 대한민국은

2020년 5월,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수준인 0.5%로 인하하였습니다.

그리고 2021년 9월 현재는 0.75%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 대부분도 경기 활성화를 위해 저금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경제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금리를 내린다?

그렇다면 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경제는 위축되는 것일까요?

우리는 금리과 경제와의 관계에 대해 이해할 필요하게 있습니다.

 

1)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시장금리(은행 금리)는 상승하게 됩니다.

 

결국, 은행의 대출, 예금 금리는 상승하게 됩니다. 

다른말로, 대출이자와 예금이자가 모두 오른다는 뜻입니다.기준금리가 0.5%에서 0.75%로 올라서, 현재 저의 마이너스 통장 대출이자도 상승한것을확인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은 금리가 이전보다 올랐으므로 

이전보다 대출을 하지 않으려고 할 것이고, 

예금을 하지 않던 사람들도 예금 이자가 올랐으니 예금을 하려고 할 것입니다.

 

2) 기준 금리가 인상되면, 주식 채권, 부동산등 자산 가격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은행 대출 금리는 인상됩니다.

사람들은 무리하게 대출 이자를 내면서 까지 아파트를 사려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매매자도 수요자가 줄 수 있는 돈의 총량이 낮아짐에 따라서

가격을 낮출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오게 됩니다.

결국 시장 전체적으로 부의 총량의 감소를 가져오게 됩니다.

3) 기준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대출을 통해 시장에 흘러가는 자금이 축소 됩니다.

 

다시말해서, 은행에서 돈을 적게 빌려주게 되고, 

대출을 받을때에도 조건이 보다 더 까다로워 집니다.

기준 금리가 올르면 은행은 더 높은 대출 이자율을 채무자에게 적용해야 합니다.

그런데, 전체적으로 시장의 부 총량의 감소로 인하여 채무자로부터

돈을 받지 못하는 확률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은행은 이자율 인상에 따른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중, 저신용자들에 대한 대출을

축소시키게 될것이고, 이로인하여 시장에 흘러가는 돈의 흐름은 축소 될수 밖에 없습니다.결국 대출이자도 늘어나지만, 돈빌리기가 더 어려워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기준금리가 올로가게 되면 '수입 경쟁력의 증가' 와 '수출 경쟁력의 축소' 를 가져오게 됩니다.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원화의 가치가 올라갑니다.

대출의 축소와 저측의 증가는 화폐의 총량을 줄어들게 만듭니다.

따라서 자국화폐가 줄어들기 때문에 가치는 상승하게 됩니다.

다시말해 원화의 환율은 증가하게 됩니다.

원화의 가치가 올라가면 원화로 달라를 싸게살수 있습니다.

달러로 원화를 사려면 비싸게 사야합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제가 핸드폰을 만들었습니다.

100달러에 팔려고 합니다.

10달러의 이득을 얻었어요.

예전에는 10달러면 10000원의 이득을 낸 것입니다.

그런데

이제는 10달러면 원화가 비싸져서 5000원의 이득밖에 내지 못합니다.

원화의 가치가 높아졌는데

핸드폰 만들어서 장사하는 저에게는 그렇게 좋은것 같지 않네요!

그런데 아이폰 100달라짜리 아이폰을 10만원이 아닌, 5만원에 판다고 하는 겁니다.

그러면 아이폰을 이때 사야한다! 구매하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입니다.

다시말해 '수입 경쟁력의 증가' 와 '수출 경쟁력의 축소' 를 가져오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 국가는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를 낮춥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대출이자와 예금이자는 낮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낮은 예금 금리를 이용할바에는 

과감하게 대출을 내어 부동산(아파트)을 구매합니다.

수요자가 늘어나니 자산인 주식, 부동산등의 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가격이 오르니 부의 총량이 증가하고 시장에 공급되는 통화량이 늘어나게 됩니다.

통화량이 증가되니, 원화의 가치는 내려가게 되고, 

이제는 100달러 핸드폰을 만들어 10달라의 이득을 냈는데, 원화로는 2만원의 이득을 내게 되었습니다.

반면 이전에 아이폰은 10만원짜리가 20만원짜리가 되었고 이에 따라서 수입은 축소되게 됩니다.

부동산이 상승했던 2016년으로 돌아가 봄니다.

위의 내용에 기반하여 정책의 흐름을 다시한번 생각해 봄니다.

아파트 언제 샀어야 했나요?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 추이

이상 포스팅을 마칠게요.

반응형

댓글